비제가 그 끝내주는 오페라를 만들 기 전, 프로스페로 메리메의 원전이 있었다. 원전은 비제의 화려한 스페인식 오페라와는 다른, 관조자의 입장에서 사형수를 쳐다보면서 쓰는 일종의 녹취록에 가까운 풍광을 그려낸다. 한 반듯한 군인이 보헤미안 여인을 만나면서 어떻게 인생이 망가져 가는 가를 그린 이야기. 실패한 사내의 이야기.


모든 남자들은 자신을 한 번에 옭아맬 매력을 가진 여자를 꿈꾼다. 그리고 그 여자와 함께 평생을 같이 하며 정착하기를 꿈꾼다. 하지만 모든 여자들이 그런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여자들은 그러한 매력을 이용해서 더 자유로와지기를 원한다. 결혼이라는 사회제도를 안정을 통한 일신의 물질적 자유와 평안함을 추구한다는 것으로 확장해석해 본다면 더 많은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봐도 되지 않겠는가.


문제는 호세, 카르멘의 남주인공의 처사다. 여자가 해 달라는대로 다 해준다. 사람도 죽이고 밀수도 하고 도둑질도 한다. 이유는 오직 하나. 그렇게 하면 카르멘이 내 옆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람을 죽여도 카르멘이랑 같이 있으면 세상이 두렵지않다고 말하는 호세의 말은 종류와 정도만 다를 뿐 모든 수컷의 마음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그 곳에서 잠시 떨어져 이 사건을 기록하는 메리메의 눈으로 살펴보면 얼마나......병신같은 짓인가 말이다.


모든 걸 다 해줘도 여자가 손아귀의 새처럼 가만히 있지 않는게 현실이다. 잡은 새는 모이를 주지 않는 법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남자들의 시각일 뿐, 여자들은 늘 열려있는 새장을 통해 날아갈 수 있는 존재. 그리고 그 새의 날개와 자유로움에 목매달고 다시 한번 옆에서 그것을 보고 싶어하는 남성의 입장에서는 그저 한없는 탄탈로스의 갈증일 뿐이다.

그러다 보면 그 동경은 비뚤어진 소유욕의 변형을 만들어내고  곧 그 감정은 질투와 질시로 바뀐다. 옆에 다른 인간이 있나 경계하게 되고, 경쟁자를 없애야 한다는 생각이 들고, 자신만의 여자로 만들기위해 이짓저짓 다 하게 되고, 그렇게 병신짓 하다가 여자가 날개를 푸드득 펼치고 날아가게 되면 그제서야 깨닫게 된다. 나는 갖지 못할 것을 소망하였구나. 내 아까운 시간.


그나마 호세는 막판에 카르멘까지 죽이는 막장테크를 타고 거침없이 인생을 종치지만, 대부분의 사내들은 여기까지 가진 못한다. 그냥 혼자 끙끙대다가 가슴에 누덕누덕 상처나 만들고 다시 다른 카르멘을 찾아 황야를 방랑하는 것이지. 계속되는 악순환의 고리. 그러다가 나중에 혼까지 빨린 뒤에 정신을 차리는 것이리라. 메리메는 과연 무슨 생각으로 이 글을 완성한 걸까?



 카르멘은 [사랑은 변덕스러운 새]라고 노래하였지만 우리에게는 현철이 있다. [사랑은 얄미운 나비인가봐] 라고 하지 않았던가?그것을 보면 현철과 벌떼들 역시 비제만큼의 국제적 유명세는 타지 못했을 지언정 남녀간 사랑의 함의는 충분히 알고도 남았으니, 오호라 시대를 관통하는 예술혼이여. 집시 카르멘이 에스카밀리오를 사랑하는 것을 보던 이베리아인의 불타는 눈동자는 우리들 마음속에 트로트로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데.


밤이 후덥지근하다.

Posted by 荊軻
,